6-1 윤회와 업, 번뇌 윤회와 업, 번뇌 불교교리의 기초가 되는 사제와 삼법인이란 생사윤회로 규정되는 우리 범부들의 삶이 어떤 인과관계에 있는가를 냉철하게 분석한 것이다. 사제와 삼법인이 분석한 인생 현실은 불교의 인생관내지 세계관의 논리적 기초가 된다. 그것은 불교가 우리들에게 주어져 있는 .. 불교 입문 교리 2012.12.13
5-4 대승불교와 공 대승불교의 일체개공 일체법의 분류는 대승불교나 유부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대승불교 쪽에서는 이같은 해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리 해석을 번쇄하게 하고 불타의 참뜻에서 멀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이 일어났다. 그리하여 종래의 유부교설에 대한 일대수정을 시도했다. 그것이 다름아닌 ≪반야심경≫의 '오온개공'이다. 다시말해 유부에서는 일체법은 실재한다는 '법유(法有)'를 주장한데 대해 '법공(法空)'을 강조하고 이러한 해석만이 부처님의 진의에 맞는 것이라고 자부했다. 대승불교가 유부의 주장을 비판하는 것은 '무아'에 대해 어떤 개체(오온;五蘊)가 인연에 의해 모였기 때문에 다만 이름만 있을 뿐 진실로 실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는 점은 인정하나 구성요소로서의 제법이 실유한다는 것은 외도(外道)의 '아.. 불교 입문 교리 2012.12.13
5-3 유부의 법체계(5위75법) 유부(有部)의 법체계 아비달마의 교학은 삼과의 분류법을 더욱 발전시켜 '5위 75법'을 확립했다. 이 분류법은 ≪구사론≫에 근거한 것으로 원래는 유부(設一切有部)의 학설이다. 5위 75법은 존재와 현상을 크게 5가지로 나누고 다시 그것을 75종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불교 입문 교리 2012.12.13
5-2 5온 12처 18계 삼 과(三科) 삼과의 첫 번째인 오온은 본래 우리의 개인적 존재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요소의 집적을 뜻한다. 즉 '색'이란 육체다. 눈·귀·코 등 감각기관(根)을 갖춘 신체를 가리킨다. 다음의 '수·상·행·식'네가지는 색에 대한 정신작용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 면 '수'란 감각 또는 .. 불교 입문 교리 2012.12.13
5-1 일체법의 분류 아함의 법체계 제행무상·제법무아·일체개고라고 할 때의 제행·제법·일체란 유위법이며 연기하는 거이라고 앞에서 말했다. 이 때의 법이란 존재 또는 현상이란 뜻이다. ≪구사론≫의 정의에 의하면 그것은 '자성을 임지하는 것' 즉 일정한 성질을 가진 존재 또는 현상이다. 그러나 .. 불교 입문 교리 2012.12.13
4-5 연기의 진리와 공 법성(法性) - 연기의 이치 한역의 연기(緣起)에 해당하는 범어에는 두 가지가 있다. 프라티탸사무트파다와 프라티탸사무트판나가 그것이다. 앞의 것은 '의해서 생기는 것' 또는 '생기게 하는 것'이라는 뜻이고 뒤의 것은 '의해서 생긴(과거분사) 것'이라는 뜻이다. 다시 한번 무명과 행의 .. 불교 입문 교리 2012.12.13
4-4 불교의 기본입장 법인(法印) - 불교의 기치 부처님의 입장, 즉 불교가 목적으로 하는 바가형이상학적 탐구보다 현실적 고통의 해결에 있다고 한다면 불교가 가르치는 진리(법)의 성격 또한 저절로 분명해진다.불교가 가르치는 진리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 중에 3 법인 또는 4 법인이라는 것이 있다. '법.. 불교 입문 교리 2012.12.13
4-3 부처님의 입장 부처님의 입장 부처님이 취한 입장이랄까 문제의식이라는 점에서 늘 언급되는 14무기(十四無記) 또는 12사치기(十二捨置記)라고 불리우는 형이상학적 논의에 대한 해답거부이다. 여기서 '무기'라는 말은 어떤 문제에 대해 해설 또는 해명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열 네가지 문제는 다음과 .. 불교 입문 교리 2012.12.13
4-2 연기와 사제법 연기와 사제법 불교의 기본은 부처님이 법(진리)을 깨달았다는 것과 그 깨달은 법을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는 것 - 즉 가르침이라는 법은 깨달음이라고 하는 부처님의 체험이 말을 통해 전해졌다는 것에 있다. 이 깨달은 진리(所證의 법)를 말해진 가르침(所證의 법)의 관계와 .. 불교 입문 교리 2012.12.13
4-1 교리의 기본구조 법이라는 것 삼보의 두 번째인 '법'은 다르마의 번역으로써 '지킨다' '의지한다'는 뜻이다. 다르마라는 말은 인도에서 일반적으로 보편적인 진리 또는 종교적 규범(즉 종교), 사회적 규범(법률과 관습·제도), 행위적 규범(윤리·도덕·의무)등의 뜻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요컨대.. 불교 입문 교리 2012.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