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과 열반은 다른가? 깨달음과 열반은 다른가? 불교평론에 발표표된 김나미님의 '깨달음과 열반의 상관관계' (불교평론 2011 봄호)라는 글은 이전에 홍사성님이 쓴 '깨달음이 불교의 목적인가 (불교평론 2004년 봄호)’, ‘깨달음에 대한 몇 가지 오해, 그리고 진실 (불교평론 2009년 6월)’ 과 호진스님이 쓴 책 '.. 불교 공부방(1) 2012.12.04
진속이제 (眞俗二諦) - 제일의제, 세속제 진속이제(眞俗二諦) 세속제 -부처님의 가르침이 세속의 도리로 설해진 것 진제 - 세속적 입장이 파기된 진리 ( 승의제, 제일의제 ) " 붓다는 두가지 진리에 의존해서 가르침을 펼쳤다. 일상적 관점에서의 진리(세속제)와 궁극적 관점에서의 진리(진제,승의제,제일의제)이다. 두가지 진리의 .. 불교 공부방(1) 2012.12.04
법(法, dhamma, dharma) 초기불교의 핵심: 법(法, dhamma, dharma) ⑴ 초기경의 도처에서 부처님은 법을 강조하셨다. ① 법을 의지하여 머무르리라 “아무도 존중할 사람이 없고 의지할 사람이 없이 머문다는 것은 괴로움이다. 참으로 나는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러야 하는가?”(A4:.. 불교 공부방(1) 2012.12.04
법(法) 법(法) 문맥에 맞는 의미 구분해야 오역 피해 S:dharma, P:dhamma, T:chos, E:dharma, Cs: 달마(達摩, 達磨)ㆍ타마(馱摩, 陀摩)ㆍ달모(達謨)ㆍ담마(曇摩)ㆍ담무(曇無)ㆍ담(曇). 불교한문에 있어서 ‘법(法)’이라는 술어만큼 폭넓은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은 많지 않다. 예컨대 ‘법문(法門)’, ‘선법(善.. 불교 공부방(1) 2012.12.04
먹음[食] 먹음[食] 잘 먹으면 아나함, 아라한 돼 S·P : āhāra T : zas E : to eat Cs : 阿賀羅 ‘먹다’란 표현은 매우 다양한 의미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밥을 먹다’뿐만 아니라 ‘마음 먹기 나름이다’ ‘나이를 먹다’ 등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이런 언어적 정감을 사용해 붓다는 유정이 존재.. 불교 공부방(1) 2012.12.04
겁(劫) 겁(劫) 겁설(劫說)은 ‘손가락’일 뿐 S: kalpa P: kappa T: bskal pa E: kalpa Cs: 劫波, 劫跛, 劫簸, 羯臘波, 劫﨟波 관념적 극대 시간 겁(劫)의 산스끄리뜨 원어는 깔빠(kalpa)로, 분별시분(分別時分)·분별시절(分別時節)·장시(長時)·대시(大時) 등의 의역어가 있다. 하지만 이것의 표기.. 불교 공부방(1) 2012.12.04
바라밀(波羅蜜) 바라밀(波羅蜜) 붓다는 구족, 유정에겐 지향점 S: pāramitā P:pāramī; pāramitā T: pha rol tu phyin pa E: perfection Cs: 波羅蜜, 波羅蜜多, 播囉弭多, 波囉弭多, 波囉伊多 대승불교의 키워드는 보살이며, 그것은 보살의 ‘실천’에 근거한다. 오늘 살펴볼 바라밀(波.. 불교 공부방(1) 2012.12.04
서원(誓願) 서원(誓願) ‘바람’보다 ‘강한 결의’ 의미 담아 S: pran.idhāna, pran.idhi P: pan.idhāna T: smon lam. E: vow Cs: 鉢羅尼陀那 불교에는 서원(誓願)이 있고 기독교에는 소원(所願)이 있다. 근대 이후 우리를 세뇌시켰던 고린도전서 13장의 영향으로 내가 하는 게 서원인지, 소원인지, 또 이럴 때 .. 불교 공부방(1) 2012.12.04
욕망[欲] 욕망[欲] 선불선(善不善) 이전의 능동적 지향성 S·P : chanda T : ’dun pa E : desire Cs : 闡那 불교에서는 존재자의 존재터전을 3계 9지로 설명한다. 잘 알듯이 욕계·색계·무색계가 3계이고, 사마디의 깊고 엷음에 따라 색계와 무색계를 각각 4가지로 구분해 총 9대지(大地)가 된다. 여기서 주목.. 불교 공부방(1) 2012.12.04
괴로움(苦) 괴로움(苦) “괴로움, 존재자의 속성 아닌 제거할 대상” “1차 괴로운 느낌 2차 파급 이어지지 않아야” S: duh.kha, P: dukkha, T: sdug bsngal, E: suffering, Cs: 豆佉 불교의 궁극적 목표는 해탈, 곧 벗어남이다. 그리고 그 벗어나고자한 곳은 괴로움(苦)이다. 광대한 8만4천 법문도 결국은 이 괴로.. 불교 공부방(1) 2012.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