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별(分別) 분별(分別) 버려야 할 분별, 가져야 할 분별 S : vikalpa T : rnam par rtog pa E : discrimination ‘분별심을 버려라’, 한두 번 들어본 말이 아닐 것이다. 반대로 ‘분별해라’는 표현은 접하기가 극히 드물 것이다. 같은 ‘분별’인데도 무언가 극명한 대조적 느낌이 온다. 이것은 불교술어의 한역상.. 불교 공부방(1) 2012.12.04
견(見) 견(見) 지식·지혜 습득의 첫 단추…있는 그대로 보아야 S: dr.s.t.i, darśana P: dit.t.hi T: lta ba, mthong ba E: to see Cs: 達利瑟致 우리말에 ‘제 눈에 안경’이란 말이 있다. 다른 사람들에게 보잘것없는 물건이더라도 보는 이의 마음에 들면 좋게 보인다는 말이다. 곧 사람들이 똑같은 대상을 보.. 불교 공부방(1) 2012.12.04
중생(衆生) 중생(衆生) 인간 말고도 또… S: sattva P: satta T: sems can E: sentient being Cs: 薩多婆, 薩埵嚩, 薩埵, 索埵 공생의 외연확장 및 열반 개념 내포 ‘중생’은 불교 안팎을 막론하고 폭넓게 사용되는 단어 가운데 하나이자 또한 신구역어 혼용 사례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기도 하다. 그 .. 불교 공부방(1) 2012.12.04
혜(慧) 혜(慧) 완전한 지혜…간택 S: prajñā, P: paññā, T: shes rab, E: prajna[insight], Cs: 般若, 波若, 般羅若, 鉢刺若, 鉢刺若, 鉢囉枳穰, 鉢羅枳孃 (1)반야: 완전한 지혜 불교 입문자치고 ‘반야(般若)’를 들어보지 않은 이는 드물 것이다. ‘반야사상’이라는 하나의 사조로 형성될 .. 불교 공부방(1) 2012.12.04
정(定) 정(定) 간택력(簡擇力) 갖춰 지혜로운 삶 전개 지향에 촛점 S: samādhi P: samādhi T: ting nge 'dzin E: meditative concentration, Cs: 三摩地, 三摩提, 三摩帝, 三昧地, 三摩底, 三昧 석가모니붓다가 자각을 넘어 이타의 길로 들어선 것은 미혹(迷惑)에서 갈팡질팡하는 중생들도 감로(甘露)의 맛을 알.. 불교 공부방(1) 2012.12.04
계(戒) 계(戒) 상가의 현실적 인식과 불교 정체성 확보 의미 있어 S:sila P:sila T: tshul khrims E: precepts, disciplines Cs: 尸羅 불교의 상가[僧伽]는 하나의 수행 공동체이다. 또 단체는 하나의 지향점을 보며 함께 나아가는 조직사회이기도 하다. 다수 개개인들의 집합체인 조직사회는 조직의 순수함을 유.. 불교 공부방(1) 2012.12.04
업(業) 업(業) 미래지향 성격, 자유의지 강조하는 술어 S: karman, P:kamma, T: las, E: karma or kamma, Cs: 羯磨 ‘업’이나 ‘업보’, 불교신자가 아니더라도 한번쯤은 말해봤음직한 말들이다. 그런데 이 말들은 본래 의미를 떠나 부정적·비관적 뉘앙스를 풍긴 채 이해되고 있다. 자신이 처한 지금의 상.. 불교 공부방(1) 2012.12.04
의(意) 의(意) 의업(意業), 의근(意根), 마나식[末那識]으로 의미확대 S·P: manas T: yid E: the mind Cs: 末那 산스끄리뜨 ‘manas’는 의(意)로 한역되는데, 경우에 따라 마나[末那]로 음사되어 사용하기도 한다. 이것을 우리말 어느 한 단어로 특정하기는 어렵다. 마나스(manas)는 ‘마음’뿐만 아니라 ‘사.. 불교 공부방(1) 2012.12.04
염(念) 염(念) 별개인 두 의미의 구분과 정확한 이해 필요 염(念)은 불교적 관점에서 2가지의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나는 산스끄리뜨 스므리띠(smr.ti)의 역어로서 이고, 둘은 산스끄리뜨 끄샤나(ks.an.a)의 역어로서 이다. 이 둘은 하나로 엮을 수 없는 별개의 의미인데도 한역경전에서 동일하게 .. 불교 공부방(1) 2012.12.04
선(善) 선(善) 善 = 유익한, ≠ 착한 해탈 열반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S:kuśala, P:kusala, T:dge pa; mkhas pa, E:wholesome 초등학교시절 ‘선행상’이란 상장이 있었다. 필자 기억으로 선생님은 선행상을 ‘착한 행동을 많이 한 어린이에게 주는 상’으로 설명하셨다. 그렇게 선(善)은 ‘착하다’와 일대일.. 불교 공부방(1) 2012.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