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개요와 행위의 분류 1. 수행의 개요 ; 마음의 세 가지 형태[mano-citta-viññāṇa]와 각각 대응하는 기능[sati-samādhi-paññā] 그리고 기능과 대응하는 수행법[사념처-사마타-위빳사나]의 관계를 바르게 알아야 하겠습니다. mano-sati-사념처, citta-samādhi-사마타[지(止)], viññāṇa-p.. 불교 공부방(1) 2013.05.05
상(想)과 '식(識)의 머묾'의 상관관계 ㅇ mano[의(意)]의 정의 - 몸과 더불어 대상을 직접 만나는 역할의 마음 ㅇ 촉구생수상사(觸俱生受想思)입니다. 이번 수업의 핵심 주제는 「[탐진치(貪嗔癡)를 매개로 한] 상(想)과 '식(識)의 머묾'의 상관 관계」입니다. mano의 감각작용에 의해 생겨난 viññāṇa의 인식과정에 개.. 불교 공부방(1) 2013.05.05
법(法)의 의미의 전개 육내입처-육외입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불교 공부의 시작점이 되는 중요한 내용인데, 몸과 마음으로 이루어진 오취온(五取蘊)인 '나'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합니다. '나'는 오취온입니다. 부처님께서 그렇게 정의해 주시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나'는 찾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바르.. 불교 공부방(1) 2013.05.05
무아를 설명하는 몇 가지 방법 * 무아를 설명하는 몇가지 방법 * - 서양철학 관점에서 - 불교평론 47호 2011.06.01(수) 마크 시데리츠 / 조은수역 리버훔 재단(Leverhulme Trust)이 마련해 준 이 자리에서 강의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이번에 강의하고자 하는 바는 여러 인도철학 전통 중 불교철학에 관한 것입니다. 특히 제가 다룰 .. 불교 공부방(1) 2013.04.08
불교이해의 정(正)과 사(邪) 불교이해의 정(正)과 사(邪) 차례 불교 : 마음 길들이는 방법 ― 서양용어로 풀어본 불교 ― 네오나르도 A. 불렌 지음 김 진 옥 옮김 현대 불교에 대한 진짜 위협 나타샤 잭슨 지음 박 승 정 옮김 불교 : 마음 길들이는 방법 ― 서양용어로 풀어본 불교 ― Buddhism :A Method of Mind-Training - An Introdu.. 불교 공부방(1) 2013.03.11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는 사실이 있다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는 사실이 있다 지은이: Walpola Rahula 옮긴이: 이 승 훈 (경서원刊, 1995) "what the Buddha taught" (Gordon Fraser Gallery, 1959) <앞 뱀발(蛇足)> 이제부터 연제할 내용은 라훌라 스님의 "what the Buddha taught"를 제가 번역한 책입니다. 그 일부(경)는 이미 경전 란에 실어놓았습니.. 불교 공부방(1) 2013.03.04
불교의 명상 <목탁소리>에서 불교의 명상 BUDDHIST MEDITATION 프란시스 스토리 지음 정 승 석 옮김 Francis story The Anagarika Sugatananda (BODHI LEAVES NO. B 15)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SRI LANKA 불교의 명상 *주1 명상이라는 정신수행은 어떠한 계통의 종교에서나 볼 수 있다. 기독교의 기도는 일종의 사념적 명상.. 불교 공부방(1) 2012.12.31
고(苦)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고(苦)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OUR REACTIONS TO DUKKHA 엘리자베스 애쉬비 지음 이 금 주 옮김 Dr. Elizabeth Ashby (BODHI LEAVES NO. B26)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SRI LANKA 범 례 1. 이 글에 인용된 경은 P.T.S.영역본을 참조하여 쪽수를 밝혔음. 2. 인명 지명등 외래어의 표기는 원어의 발음에 따르는 것을 .. 불교 공부방(1) 2012.12.31
상좌불교, 무시할 것인가, 포용할 것인가. 한국불교가 당면한 교리·사상적 과제 / 재연 [2010 불교평론 학술 심포지엄] 상좌불교, 무시할 것인가, 포용할 것인가 불교평론 [44호] 2010년 09월 06일 (월) 재연 manjusri@kornet.net 1. 들어가며 한 학자는 고타마 붓다의 출현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불교의 양적 질적 변화를 이렇게 술회했다: .. 불교 공부방(1) 2012.12.04
깨달음이 목적인가, 열반이 목적인가? 수다원의 깨달음과 아라한의 깨달음 깨달음이 목적인가, 열반이 목적인가 깨달음과 열반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 깨달음지상주의에 젖어 있는 한국불교의 현실을 통렬히 비판하는 논문이 불교평론에 발표 되었다. 기자겸 작가로도 잘 알려져 있는 ‘김나미’박사의 ‘깨달음과 열.. 불교 공부방(1) 2012.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