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 베풀고 싶을 때... 공덕을 베풀려거든 과보를 바라지 말라. 과보를 바라면 도모하는 뜻을 가지게 되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덕 베푼 것을 헌신처럼 버려라'' 하셨느니라. 우리가 행하는 행위 하나 하나를 가만히 살펴보고 관찰해 봅니다. 아무 의미 없이 이루어지는 행동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 불교 공부방(2) 2012.12.04
七. 마음 맞지 않는 사람과 일을 할 때...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기를 바라지 말라.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면 마음이 스스로 교만해 지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내 뜻에 맞지 않는 사람들로써 원림(園林)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나의 생각'', ''나의 가치관''이 강한 사람일수록 내 주장을 크게 내세우며 나의 .. 불교 공부방(2) 2012.12.04
六. 맑은 친구를 사귀고 싶을 때... 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말라. 내가 이롭고자 하면 의리를 상하게 되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순결로써 사귐을 길게하라'' 하셨느니라. 삶이라는 긴 여행 동안, 우린 참으로 많은 사람들과 인연을 맺게 됩니다. 사람 사람과의 부딪힘 그 연장이 우리의 삶일 것입.. 불교 공부방(2) 2012.12.04
五. 일을 시작할 때... 일을 꾀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말라. 일이 쉽게 되면 뜻을 경솔한데 두게 되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여러 겁을 겪어서 일을 성취하라’하셨느니라. 모든 일을 쉽게쉽게 하고자 했던 우리의 일상에 크게 경종을 울려 주는 글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언가 열심히 일하.. 불교 공부방(2) 2012.12.04
四. 수행 중에 마(魔)가 올 때... 수행하는데 마(魔) 없기를 바라지 말라. 수행하는데 마가 없으면 서원이 굳건해지지 못하게 되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모든 마군으로써 수행을 도와주는 벗을 삼으라’하셨느니라. 수행(修行)은 우리 모두의 삶에 있어서 가장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누구라도 수행은 절대.. 불교 공부방(2) 2012.12.04
三. 마음공부에 장애가 생길 때... 공부하는데 마음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되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장애 속에서 해탈을 얻으라’하셨느니라. 삶은 공부의 연속입니다. 평범한 일상 속에 참으로 밝은 진리가 살아 숨쉬고 있음을 우린 너무도 모르고 살아 온.. 불교 공부방(2) 2012.12.04
二. 근심과 괴로움으로 힘겨울 때...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 하셨느니라. 우리는 행복과 즐거움으로써만 세상을 살아가려 합니다. 오직 그것만을 위해 앞만 .. 불교 공부방(2) 2012.12.04
一. 병(病)으로 괴로워 할 때...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 면 탐욕이 생기기 쉽나니, 그래서 부처님께 서 말씀하시되 '병고로써 양약 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부처님께서는 병을 괴로움으로 보셨습니다 '병고(病苦)'라고 하여 4가지 커다란 괴로 움인 나고(生) 늙고(老) 병들고(病) 죽는(死) 생노병사 가.. 불교 공부방(2) 2012.12.04
보왕삼매론 공부를 시작하며... 『보왕삼매론』은 일상에서 우리가 쉽게 맞닥뜨릴 수 있는 온갖 경계에 대해, 또한 수행 중에 나타날 수 있는 장애와 걸림, 마장에 대해 어떻게 극복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밝은 지혜를 줍니다. 어려운 문자가 아니기에 많은 불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고, 어떤 사찰에서는 아침 저녁 예불 .. 불교 공부방(2) 2012.12.04
보왕삼매론 보왕삼매론(寶王三昧論) 一. 몸에 병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병고로써 양약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二.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기를 바라지말라.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불교 공부방(2) 2012.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