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스님 백일법문

[스크랩] 백일법문 [제3장 중관사상] 2. 삼론종 (1) 중관론의 정의

소리없는 아우성 2012. 12. 10. 08:47
(1) 중관론의 정의

 

세존사이트 / 성철스님 법어집 / 장경각 / 불기 2536.4.

 

길장스님은 「중론(中論)」또는 「중관론(中觀論)」이라는 책 제목으로써 중도에 대해 해석을 했습니다. 이 중관론의 명제에 대한 해석이 길장스님의 저서 여러 곳에 있는데, 여기서는 중관론소(中觀論疏)와 삼론현의(三論玄義)에 있는 해석을 일부 발췌하였으며 이들의 내용은 서로 비슷합니다. 

중(中)은 소전(所詮)의 이치요, 논(論)은 능전(能詮)의 가르침이니, 이것은 이치에 있어 포섭하 지 않음이 없고 가르침에 있어 거두지 않음이 없느니라. 중(中)은 모든 부처님과 보살이 능히 행하는 도(道)요, 관(觀)은 모든 부처님과 보살이 능히 관하는 마음을 말한다. 모든 부처님의 관 (觀)은 마음에 분별한 바를 입으로 잘 설명하여 그것을 경(經)이라 칭하고, 보살의 관(觀)은 마 음에 분별한 바를 입으로 잘 설명하여 그것을 논(論)이라 이름하느니라.
中은 是所詮之理요 論은 是能詮之敎니 斯無理不攝이요 無敎不收니라...... 中은 諸佛菩薩所行之道요 觀은 謂諸佛菩薩能觀之心이니라. 諸佛 觀辨於心宣於口하여 稱之爲經이요 菩薩觀辨於心宣於口하여 名之爲論이니라. [中論疏 ; 大正藏 42 p.2상]

중(中)은 소전(所詮)의 , 즉 불교의 근본원리를 표방한 것이고, 논(論)은 능전(能詮)의 교(敎), 즉 그 근본원리를 부연 설명하는 것입니다. 중론이라 하는 이 논전(論戰)에는 불교교리의 무슨 이치든지 그 기본적 사상이 여기에 섭수되지 아니한 것이 없습니다. 불교계에는 여러 종파가 많이 분립되어 있지만, 전 종파의 교리가 다 이 중론을 기본으로 하여 여기에서 파생된 것으로 중(中)을 제외하고는 불교라는 것이 성립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은 모든 부처님과 보살이 행하는 도요, 이 중에 입각한 관(觀)은 모든 부처님과 보살이 능히 관하는 마음입니다.

일체의 부처님과 보살이 이 중관(中觀)에서 마음을 깨쳤는데, 모든 부처님이 마을을 깨쳐 중관의 도리를 성취하여 설해놓은 것을 경(經)이라 하고, 보살이 깨쳐 설해 놓은 것은 논(論)이라 합니다. 그러므로, 이 중론이라 하는 것은 용수 보살이 지은 것이기 때문에 경이라 하지 않고 논이라 하는 것입니다. 
삼론종에서는 이 중(中)이 모든 부처님과 보살의 근본원리로서, 불교에서 말하는 이론은 무슨 이론이든지 다 이 중(中)위에 서서 그 이론이 전개되어 있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중(中)은 삼제 시방 모든 부처님과 보살이 행하는 도를 말한다. 이 도로 말미암아 모든 부처님과 보살의 정관(正觀)을 발생하느니라.
中은 謂三世十方諸佛菩薩 所行之道라 有此道故로 發生諸佛菩薩正觀하니라 [三論玄義 ; 大正藏 45 p.13하]

삼세 제불과 보살이 실천하는 도(道)가 호호망망해서 무궁무진하지만, 이들 모두는 그 근본이 중(中)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이 근본 골자인 중을 떠나서는 삼세 시방 제불보살의 불법이 있을 수 없고, 이 중도를 의지하여야만 정관(正觀)을 이룰 수가 있습니다. 중도를 깨치고 중도에 입각해서 정관을 가지고 설법을 하든 무엇을 하든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곧 변견(邊見)에 떨어지고 맙니다.


                                                                



출처 : 고전 취미 붙이기
글쓴이 : 無爲修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