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서의 색의 의미
불교에서 쓰는 색에는 보통 가사를 만들 때 쓰는 괴색부터 단청에 칠하는 화려한 원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흔히 괴색(壞色)이라고 하는 용어는 범어 카사야(kasaya)를 번역한 것으로 부정색(不正色), 탁색(濁色), 탁염색(濁染色)이라고도 한다. 이는 괴색(壞色)이라고 하는 글자가 말해주듯이, 화려한 원색을 무너뜨린 탁하고 우중충한 색으로 만든 가사를 입음으로서 검소함을 보이고, 또 한편으로는 도둑맞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노란색은 예부터 귀함의 상징이었으므로 절에 모신 부처님 대부분은 황금빛으로 되어 있는데, 황금빛은 무량광(無量光)의 가르침을 상징했다.
다음은 불교에서 주로 등장하는 색이다.
자주
자줏빛 안개가 서려 있는 문이라는 뜻을 담고 있는 불국사 자하문(紫霞門), 자줏빛은 자금색으로 부처님의 몸 빛깔을 상징하는데, 자하문 또한 부처님 몸에서 풍겨 나온 자색 서기가 구도자에게 안개처럼 피어오름을 상징한 것으로 부처님 나라로 들어가는 문이란 뜻이다.
검정
우리나라 스님들은 검정물감이나 숯으로 물들인 회색빛 승복을 입는다. 때가 잘 타지 않고 화동 하기에 편리하며, 비용이 적게 드는 등 검소한 복색이기 때문이다. 고려 때 자문에 응하던 승려를 흑의재상(黑衣宰相)이라 했다.
불교에서 유래된 묵인(墨印)은 먹으로 새겨 두다 의 뜻으로, 먹글로 전수 받은 불법을 마음에 새긴다는 의미이다. 이는 여러 단계로 구분되는데 , 부처님에게서 친히 수지불망(受持不忘) 하는 단계, 고승에서 여러 스님들과 함께 수지 불망하는 단계, 중생과 함께 많은 스님에게서 듣는 단계 등으로 나뉜다 .
노랑
노랑은 번영과 신성을 상징한다. 부처님의 모습을 나타낸 32상 중 열네 번째에 몸이 금빛으로 빛나는 금색상이 설명되어 있다. 모든 부처님의 얼굴빛이 노랗다 하여 선종(禪宗)에서는 황면노자(黃面老子), 황면구담(黃面瞿曇)이라 하고, 부처님의 유골을 금골(金骨)이라 부르기도 한다.
특히 목조 아미타의 금색상은 아미타의 정토가 광명에 의해 장엄됨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노란 종이나 비단에 경문을 쓰고 붉은 막대에 붙여 둘둘 말았던 불교 경전을 황권적축(黃卷赤軸)이라고 했다.
노란색에 화려한 수를 놓아 만든 금란가사는 국사 등 아주 높은 지위의 스님들이 입은 가사이다. 자장 율사의 금란가사가 양산 통도사와 정암사에, 대각국사의 금란가사가 선암사에 전해 내려온다.
빨강
빨간색은 푸른색과 함께 단청의 주조를 이룬다. 빨간색은 벽사(?邪)의 의미가 있어 부적 등에 흔히 쓰인다. 스님이 입는 정통복식인 가사 가운데 홍가사(紅袈娑)가 있는데, 오래 전부터 붉은 가사는 불성(佛性)과 사자상승(師資相承)하는 정법안장(正法眼藏)을 상징한다.
녹색
녹색은 생명력을 상징한다. 불사리(佛舍利)나 경전(經典)을 녹색 유리제 사리병 등에 넣는데, 이는 무량한 생명력을 지닌 부처님의 가르침을 담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선종에서 쓰이고 있는 말로, 화홍유록(花紅柳綠) 또는 유록화홍(柳綠花紅)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인공을 가미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가리킨 말이다. 꽃이 빨간 것은 자연의 이치를 드러낸 것이고, 버드나무가 푸른 것은 자연의 순리를 드러낸 것이다.
흰색
불교에서는 청정한 마음을 하얀 마음이라 하고, 착한 업보를 쌓는 것을 백업(白業)이라고 한다. 석가모니는 전신인 호명보살을 벗어버리고 도솔천에서 사바세계의 마야부인에게 잉태될 때, 흰 코끼리를 타고 하강했다. 여기서 흰색은 석가모니가 이승에 청정 세계를 건설하고자 한 의지의 표상이다. 그리고 사천왕 중에서 동쪽을 지키는 지국천(持國天)의 상징 색도 희색이다. 부처님의 32상 중에 두 눈썹 사이에 흰털이 있다는 백모상이 설명돼 있다.
불교기 (부처님 상호와 가르침 상징)
1950년 스리랑카에서 개최된 제1회 세계불교도우의회에서 회기( (會期)로 제정됐으며,
이후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1966년 8월 11일 개최된 제13회 조계종 임시중앙종회에서 논의돼,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이후 8월 12일부터 [조계종기]로 공식 게양됐으며, 이후에는 각종 불교행사에서 종파를 초월해 게양하고 있으며, 불상을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불교기에 사용한 색깔이 상징하고 있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모양은 청색, 황색, 적색, 백색, 주황색 등 5색을 가로와 세로로 배치했다.
가로 세로 비율은 3:2다. 의미는 부처님의 상호( (相好)인 모발과 몸, 피, 치아, 가사의 색과 그 가르침을 상징한다.
청색은 마음을 흐트러뜨리지 않고 불법을 구하는 정근을 상징한다. 부처님의 모발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황색은 찬란한 부처님의 몸빛과 같이 변하지 않는 굳건한 마음을 나타낸다. 건장한 몸매에 확고부동한 부처님의 태도가 금강에 비유되는 이치와 같다.
적색은 더운 피의 색깔로서 항상 쉬지 않고 열정적으로 정진에 힘쓸 것을 표현한 것이다.
백색은 깨끗한 마음으로 온갖 번뇌를 맑게 하는 청정을 뜻한다. 부처님 치아의 색을 상징한다.
주황색은 부처님의 성체를 두른 가사색으로 온갖 유혹과 굴욕 그리고 수치스러움을 참고 견디며 성내지 않는 인내를 상징한다.
가로로 그은 선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의미하며,
세로로 그은 선은 그 가르침이 영원히 변함없는 것을 뜻한다.
'불교 공부방(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달음이 불교의 목적인가 ? (0) | 2012.12.04 |
---|---|
원효의 화쟁 방법 (0) | 2012.12.04 |
부처님의 10대 제자 (0) | 2012.12.03 |
불교는 종교인가! (0) | 2012.12.03 |
불교는 종교인가! (0) | 2012.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