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는 종교인가!
부처님이 설하신 도덕적, 철학적인 체계는 법(法)이라고 불리우며, 널리 불교라고 알려져 있는 것은 바로 이 체계를 가리키는 것이다.
엄밀히 말해서 불교는 종교가 아니다. 신앙과 숭배의 체계가 아니라는 점에서도 그렇고, 초자연적 신에 대해 충성을 바칠 의무가 전혀 없다는 점에서 또한 그러하다. 불교는 부처님의 제자들을 이끌어 청정한 삶을 살게 하고 또한 그들의 생각 자체를 청정하게 만들어 마침내 최상의 지혜[大覺]를 얻게 하고 모든 불행으로부터 자유로워지게 하는 길이다.
불교에선 맹목적 믿음은 설자리가 없고 오직 지혜를 바탕으로한 확신이 있을 뿐이다. 불자는 부처님을 유일무이의 지도자와 스승으로 받들어 그에게 귀의하지만 맹목적으로 복종하지는 않는다. 불자는 경전에만 얽매이는 사람도 아니요, 또 부처와 같은 존재에 예속된 노예도 아니다.
불자란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자유를 지닌 채로, 자유로운 의지를 활용하고 지혜를 계발하여 끝내는 부처의 경지에까지도 이를 수 있는 사람들이다. 그것은 누구나 다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佛性]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불자들은 물론 부처님의 말씀을 최고의 권위로 받들지만 부처님은 한번도 자신이 초자연적 권능자라는 식의 주장을 하신 적이 없다. 불교에서는 '지금 여기에서'의 직접적 깨달음만이 진리를 점검하는 유일한 기준이다. 그 깨달음의 관건은 합리적인 이해[正見]이다.
불자들이 불단에 꽃이나 다른 공양물을 올리는 등 부처님을 공경하는 의식을 행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부처님을 신으로 숭배하는 것은 아니다. 부처님은 살아 계신 동안 사람들로부터 높이 추앙을 받으셨으나 한번도 자신을 신격화한 적은 없었다. 그분은 어디까지나 인간이었다. 다만 놀랄 만큼 비범한 인간이었다. 그러나 "부처님만큼 신이 아니면서도 또한 그렇게 신처럼 거룩했던 스승도 없었다."고 아니할 수 없다.
부처님께서 불자들에게 바라시는 것은 맹종이 아니라 가르침을 실천적으로 준수하는 것이다. 부처님은 '나의 가르침을 제대로 실행하는 사람이 나를 제대로 공경하는 사람'이라고 일깨워 주셨다. 더더욱 '세속적 욕망을 성취하려는 기도'나 '자기중심적 사고를 강화시키는 기도'등은 불교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그와는 정반대로 불교에서는 자제와 극기와 심신의 정화를 통해 깨달음을 얻게 하는 명상수행이 핵심을 이룬다.
불교에는 불교도가 복종하고 두려워해야할 창조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부처님은 인간 위에 보이지 않는 전능의 신을 설정하지 않고, 오히려 인간의 올바른 가치를 인정하여 그 위상을 정립하셨다. 불교는 인간이 하나님이나 성직자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 자신의 노력만으로 자기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
여기에는, 이해가 되지않는 것을 굳이 믿어야하는 교리도 없고, 이치를 떠나 믿음으로 무조건 받아들여야 하는 교의도 없으며, 신자가 되기 위해 치뤄야 할, 허례적 의식이나 예식도 없고, 속죄를 위해 해야한다는 무의미한 희생이나 고해의식도 없다.
칼 막스는 "영혼(靈魂)이라고는 없고 순전한 조건일 뿐인 이 세상에서 영혼 구실을 하고 있는 것이 종교이고, 또한 무정한 세상에서 마음 구실을 하고 있는 것이 종교이니 종교야말로 인민의 아편이다"라고 말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불교는 정녕 종교가 아니다.
그러나 종교가 삶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해주는 구원의 체계라고 한다면, 불교는 종교 중의 종교인 것이다.
나라다 스님/김한상 옮김
불교 이해의 첫걸음
An Outline of Buddhism
'불교 공부방(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달음이 불교의 목적인가 ? (0) | 2012.12.04 |
---|---|
원효의 화쟁 방법 (0) | 2012.12.04 |
부처님의 10대 제자 (0) | 2012.12.03 |
불교는 종교인가! (0) | 2012.12.03 |
불교기 (0) | 2012.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