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존사이트 / 성철스님 법어집 / 장경각 / 불기 2536.4.
화엄의 볍계관을 말한 것으로 이사원융의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理)와 사(事)는 일체법의 본질과 현상을 나타내는 말인데 이(理)와 사(事)가 원융한 뜻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사구윰문(里事俱融門)을 비롯하여 이법은현문(理法隱顯門) · 사법존민문(事法存泯門) · 사사상재문(事事相在門)등의 열 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설하는 이사구융문(里事俱融門)은 그 중의 맨 처음인데 이와 사가 원융한 근거를 어디에 두고 있는가를 찾아 보면 이것 역시 쌍차하고 쌍조하는 중도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그 뜻을 현수스님은 열 가지로 해명하고 있습니다.
이와 사가 원융무애하니 사는 허하고 이는 실하여 서로 포섭하고 거두어들이면서 열 가지 뜻을 이루게 됩니다. |
'성철스님 백일법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백일법문 [제7장 화엄종사상] 3. 사문십의 (1) 사문 (0) | 2012.12.10 |
---|---|
[스크랩] 백일법문 [제7장 화엄종사상] 3. 사문십의 (0) | 2012.12.10 |
[스크랩] 백일법문 [제7장 화엄종사상] 2. 법계삼관 (3) 주변함용관 (0) | 2012.12.10 |
[스크랩] 백일법문 [제7장 화엄종사상] 2. 법계삼관 (2) 이사무애관 (0) | 2012.12.10 |
[스크랩] 백일법문 [제7장 화엄종사상] 2. 법계삼관 (1) 진공관 | (0) | 2012.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