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중에서 여러 식을 모두 심(心)과 의(意)와 식(識)이라고 한다. 만약 가장 수승한 아뢰야식 에 의하면 심이라 한다. 왜냐하면 이 식이 능히 일체법의 종자를 모으기 때문이며 언제나 집 수의 경계를 반연하고 알 수 없는 한 무리 기세간의 경계를 반연하기 때문이니라. 말나식을 의(意)라 하니 언제나 아(我), 아소(我所), 아만(我慢) 등을 집착하고, 사랑을 성품으로 삼는다. 나머지 식을 식(識)이라고 하는데 경계에서 요별함을 특징으로 삼는다. 이와 같이 세 가지가 있는데, 유심위(有心位) 중에서는 심·의·의식이 언제나 함께 있으며 유전하느니라.
아뢰야식의 움직임이라는 것은 대단히 미세하고 난해하여 보통의 심식으로는 도저히 사랑할 수 없고 분별할 수 없으며 지각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알 수 없다〔不可知〕'라고 하는 것입니다. 말나식이 아(我)와 아소(我所)를 집착하고 사랑함은 잠재적으로 사랑하는 것을 말하며, 만약 드러나게 사랑한다면 제6식의 작용에 의한 것이지 말나식의 성질이 아닙니다.
이와 같이 말나식은 뿌리깊은 번뇌인 아(我), 아소(我所)와 아만(我慢)등을 집착하며 끊임없는 생각과 헤아림을 그 성품으로 삼는 것입니다. "유심의 가운데는 심·의·의식이 언제나 함께 있으며 유전하느니라"는 말은, 마음의 경계를 열지 못한 우리가 쉽사리 이해할 수는 없지만 여하튼 아뢰야식이 근본이 되고 말나와 의식이 함께 뭉쳐서 활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보통 지각할 수 있는 것은 의식뿐이지만 그것을 내면적으로 운전하는 말나와 아뢰야도 언제든지 의식과 함께 활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보통 때는 이와 같지만 발심수행하여 제8지 보살의 오매일여(寤寐一如) 가 되면 의식이 완전히 떨어지고 말나도 거의 떨어져서 제8 아뢰야만 혼자 남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