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교학과 수행(동영상)
[스크랩] 초기불교 교학과 수행 동영상18 - 팔정도 1
소리없는 아우성
2012. 11. 26. 11:05
출처 : 초기불전연구원
글쓴이 : 초불 원글보기
메모 :
<팔정도1>
1. 아리야(성스럽다)라는 단어는 특히 중요한 것에만 쓰였음
①교학6주제에서, 4성제에만 쓰임(불교의 모든 가르침은 4성제로 총섭된다는 법의 사령관인 사리뿟따 존자의 말씀)
②수행7주제에서, 8정도에만 쓰임 ③존재중에서 성자(예류~아라한)에게만 쓰임
☞교학의 핵심은 사성제요, 수행의 핵심은 8정도요, 존재의 핵심은 성자이다.
2. 중도(中道)에 대한 설법
1) 많은 곳에서 중도는 팔정도라고 하심
①최초설법 - 초전법륜경(S16:11) ②최후설법 - 대반열반경(D22) ③기타 - 마하고윈다 경(D19) 등 다수
2) 단1번, 중도는 37조도품이라고 하심 - 37조도품은 결국 8정도이다.
1. 아리야(성스럽다)라는 단어는 특히 중요한 것에만 쓰였음
①교학6주제에서, 4성제에만 쓰임(불교의 모든 가르침은 4성제로 총섭된다는 법의 사령관인 사리뿟따 존자의 말씀)
②수행7주제에서, 8정도에만 쓰임 ③존재중에서 성자(예류~아라한)에게만 쓰임
☞교학의 핵심은 사성제요, 수행의 핵심은 8정도요, 존재의 핵심은 성자이다.
2. 중도(中道)에 대한 설법
1) 많은 곳에서 중도는 팔정도라고 하심
①최초설법 - 초전법륜경(S16:11) ②최후설법 - 대반열반경(D22) ③기타 - 마하고윈다 경(D19) 등 다수
2) 단1번, 중도는 37조도품이라고 하심 - 37조도품은 결국 8정도이다.
①바른견해
②바른사유
③바른말
④바른행위
⑤바른생계
⑥바른정진
⑦바른마음챙김
⑧바른삼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