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교학과 수행(동영상)
[스크랩] 초기불교 교학과 수행 동영상21 - 사마타와 위빳사나
소리없는 아우성
2012. 11. 26. 11:08
출처 : 초기불전연구원
글쓴이 : 초불 원글보기
메모 :
<사마타와 위빳사나>
1. 사마타와 위빳사나의 구분 근거 - 4부 니까야의 모두에서 분명히 구분하여 설하심
2. 정의
1)사마타(止수행)=삼매(사마디,定)=4선8정을 개발하는 수행
2)위빳사나(觀수행)=지혜(반야,慧)=3특상을 통찰하는 수행
3. 사마타와 위빳사나의 비교
1)대상 : 사마타의 대상은 표상(개념에 속함), 위빳사나의 대상은 법(온처계근제연)
2)특징 : 사마타의 특징은 집중, 표상의 개념(대상)에 집중하는 것. 위빳사나의 특징은 통찰, 법(대상)의 삼특상을 꿰뚫어 보는 것
예)들숨날숨에 마음챙김(念)->①숨이 닿은 곳에 집중(삼매,定) 또는
②숨이 닿는 곳에서 변화 즉 무상,고,무아를 통찰(위빳사나,慧)